맨위로가기

일본 수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수화(JSL)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수화 언어이다. 1878년 교토에 최초의 청각 장애인 학교가 설립되면서 일본 수화의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2011년 장애인 기본법 개정을 통해 일본에서 법적으로 언어의 한 형태로 인정받았다. 일본 수화는 일본어와는 다른 언어학적 특징을 가지며, 손짓, 비손짓 표현, 구형, 일치 동사, 상, 성별 표현, 수 등 다양한 문법적 요소를 사용한다. 일본 수화에는 JSL 외에도 일본어 대응 수화, 중간 수화 등 다른 종류의 수화가 있으며, 한국 수화, 대만 수화와 어휘를 공유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수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관련 법률 제정 및 교육, 미디어 노출을 통해 수화 사용이 장려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화 - 대만 수화
    대만 수화는 일본 통치 시대 일본 수화에서 비롯되어 중국 수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현재 타이베이와 타이난을 중심으로 두 가지 방언이 존재하고, 영화 '사일런트 포레스트'를 통해 대중적 인지도가 향상되었다.
  • 수화 - 미국 수화
    미국 수화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사용되는 수화 언어로, 1817년 미국 농아학교에서 여러 수화를 결합해 탄생했으며, 청각 장애인 커뮤니티의 의사소통 수단이자 독립된 언어로서 인정받아 여러 지역과 국가에서 활용된다.
  • 일본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일본의 언어 - 게센어
    게센어는 일본 이와테현 기센 지구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도호쿠 방언의 일종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아이누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언어라는 주장도 있으며, 현대 일본어와 차이를 보이는 어휘와 문법, 발음 체계로 인해 지역 언어 부흥 운동의 대상이 되었으나, 방언인지 독립된 언어인지 논쟁 중이다.
일본 수화
개요
언어 이름일본 수화
고유 이름日本手話 (Nihon Shuwa, 니혼 슈와)
사용 국가일본
사용자 수약 317,000명 (1986년)
관련 기관일본 농아인 연맹
언어 계통일본 수화 어족 (한국 수화, 대만 수화와 계통 관계가 있음)
ISO 639-3jsl
Glottologjapa1238
Glottolog 이름Japanese Sign Language

2. 역사

에도 시대 이전에는 수화와 청각 장애인 공동체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1862년 도쿠가와 막부는 유럽의 청각 장애인 학교에 사절단을 파견했다. 1878년 교토에 후루카와 타시로가 최초의 청각 장애인 학교인 교토 맹아원을 설립하고, 일본 수화(JSL) 발전에 기여했다.[2][3]

1948년까지 청각 장애 아동은 정규 교육을 받을 의무가 없었다.[4] 20세기 후반, 일본에서는 청각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여, "청각 장애인"을 단지 "들을 수 없는 사람들"로 보는 생물 의학적 모델 대신, 일본 수화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 문화적 모델로 변화하기 시작했다.[5]

일본 청각 장애인 연맹은 JSL 사용자의 의사소통 기회 확대를 위해 노력해 왔다.[6] 아키시노노미야 기코 비는 JSL을 배우고 수화 통역사로 활동하며 황실 내 JSL 지지 기반을 보여준다.[7] 그녀는 수화 관련 행사에 참여하고 비공식적인 청각 장애인 모임에서 수화를 사용한다.[8][9]

청각 장애인 공동체는 수화 법 제정을 지지했고, 2011년 제정된 장애인 기본법은 수화를 언어로 인정했다.[10][11]

2022년 이케부쿠로에서 열린 정치 집회에서 일본 수화 통역사(오른쪽)


일본 수화는 문자가 없는 언어이므로, 동영상 기록 이전의 오래된 기록은 찾기 어렵다. 현재 확인 가능한 가장 오래된 일본 수화 기록은 1878년 후루카와 타시로의 교토 맹아원 개설과 관련되어 있다. 1923년 농아학교령 이후 수화를 사용하지 않는 구화법 보급으로 일본 수화는 어려움을 겪었지만,[30] 140년 이상 일본 청각 장애인 공동체에서 유지되고 있다.

2. 1. 일제 강점기 한국 수화에 미친 영향

1878년 고가와 타이시로가 개설한 교토 맹아원에서 사용된 일본 수화의 원형은, 이후 한국 수화에도 영향을 주었다.[30] 이는 일본 통치 시대의 조선의 영향으로 보인다.[26] 일부 학자들은 한국 수화를 일본 수화어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27] 그러나 일본 수화가 한국 수화에 미친 영향의 정도는 불분명하다는 의견도 있다.[26]

3. 언어학적 특징

일본 수화는 일본어와는 다른 독자적인 문법 체계를 가진 수화 언어이다. 손짓(수형, 위치, 움직임, 손바닥 방향)뿐만 아니라 비수지 표현(얼굴 표정, 몸짓)도 중요한 문법 요소로 사용된다.[32][33][23]

어순은 SOV(주어-목적어-동사) 형으로 여겨지며,[33][23] 손의 움직이는 방향으로 주어와 목적어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치 동사가 있다.[34] 평서문, 의문문, 부정문 등 다양한 구문은 비수지 표현으로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33][23]

CL 구문을 통해 사물의 움직임, 위치, 형태 등을 표현하며,[35] 하나의 수화 표현으로 여러 문장에 해당하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36]

일본어 문자 체계의 영향을 받아 한자를 수화로 표현하는 요소도 포함하고 있다. 지문자의 한 형태인 指文字|유비모지일본어가나에 해당하며, 외래어, 성(姓), 특이한 단어 등에 사용된다.[29]

일본 수화 연구는 초기에는 음성 언어와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지만, 현재는 다른 자연 언어와 같은 기법을 사용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23] 수화 음운론에서는 수화의 音素|음소일본어를 "손 모양", "위치", "움직임", "손바닥의 방향"으로 구분하고, 음성 언어와 유사한 변별성을 확인하고 있다.[33][23]

3. 1. 비수지 표현 (NMM/NMS/NM)

일본 수화를 비롯한 세계 수화 언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법 요소는 비수지 표현이다. NMS(비수지 신호, non-manual signals) 또는 NMM(비수지 표지, Non-manual markers)이라고도 부른다. 비수지 표현에는 손과 손가락 이외의 눈썹, 눈, 뺨, 입, 턱, 어깨 움직임이 포함된다.[33][23]

평서문은 문장 끝에 가벼운 "끄덕임"이 나타난다. "~입니다", "~다"라는 의미이다.

긍정/부정 의문문(YES-NO 의문문)은 문장 끝에 "눈썹 올림", "눈을 크게 뜸", "턱 당김"과 같은 비수지 표현이 붙는다. "그런가요?"라고 묻는 듯한 표정이 된다. "~입니까?"라는 의미이다.

이김
이깁니다: "이김"이라는 수화와 거의 동시에 "끄덕임"이라는 비수지 표식이 나타난다. "이김", "이깁니다"라는 의미이다.

"이김" 수화는 양손 엄지를 펴서, 주 손을 비주 손에 가볍게 대고 튕겨 넘어뜨리듯이 움직여 표현한다.

이겼어?
이깁니까?: "이김" 수화와 거의 동시에 눈썹 올림, 눈 크게 뜨기, 턱 당김의 비수지 동작이 나타난다. "이김?", "이깁니까?"라는 의미이다.

WH 의문문("WH 기몬분"), 즉 "누구", "무엇", "어디", "어떻게" 등 의문사를 사용하여 설명을 요구하는 의문문의 비수지 표현에는 미세한 머리 흔들기가 필수적이다.

"눈썹 올림과 눈 크게 뜨기" 또는 "눈썹 찌푸림과 눈 가늘게 뜨기" 중 하나를 선택한다. (화자나 문맥에 따라 다르지만, 의문문 의미는 변하지 않는다.)

"이름" 수화와 함께 이 비수지 표현이 나타나면 "이름은 무엇입니까?"라는 설명을 요구하는 의문문이 된다.

이름은?


이름은?: 이름 수화와 함께 "머리 흔들기"가 나타난다. "이름은 무엇입니까?"라는 의미이다.

명사마다 끄덕임이 나타나면 각 명사는 병렬화된다. 예를 들어 "빨강, 보라색, 노랑, 녹색"이 된다.

빨강, 동시에 끄덕임


보라색, 동시에 끄덕임


노랑, 동시에 끄덕임


녹색, 동시에 끄덕임


두 명사마다 끄덕임이 나타나면, 두 명사는 복합어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빨강 보라색, 노랑 녹색"이 된다. 두 복합어가 병렬로 나열된다.

빨강, 끄덕임은 없다


노랑, 끄덕임은 없다


명사마다 끄덕임이 있으면 두 명사는 병렬로 간주된다. "나, 아버지"가 된다.

나, 끄덕임이 들어가 있다


아버지, 동시에 끄덕임이 있다


두 명사에 끄덕임이 없고, 일련의 표현으로 간주될 수 있다. "나의 아버지"가 된다. 이때 두 수화 표현은 빠르고 하나의 흐름으로 표현된다.[32]

나, 여기서는 끄덕임이 들어가 있지 않다.


3. 2. 구형 (口形)

수화 구형(口形)은 수화 표현과 함께 나타나는 입 모양으로, 문법이나 화자의 감정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42][23]

다음은 수화 구형의 예시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용법이 존재하며[43], 아직 모든 용법이 상세하게 기술되지는 않았다.

구형설명
Po(포)"잘"과 같은 부사적 정보를 나타낸다. "성공하다"와 같은 수화 표현과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도대체 왜"와 같은 표현에도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Pa(파)완료를 나타내거나[23] "갑자기~"와 같은 부사적 정보를 나타낸다.
Pa++(파파파파)"많이~"와 같은 부사적 정보를 나타낸다.
U (우)"~하다"와 같이 현재형을 나타내는 일부 동사와 함께 사용된다 (일본 수화에는 시제 표현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는다[23]).
Ta(타)"~했다"와 같이 특정 수화 표현과 함께 과거 완료의 상을 나타낸다.
nm(응m)얼굴 표정에 따라 "(얼굴 전체가 느슨해지면) 문제없이", "(얼굴에 힘을 주면) 열심히[33]"와 같은 부사적 의미를 나타낸다.



잘 보였다


Po(포)의 예시: "잘 보였다" - "보다"와 동시에 "Po(포)" 구형이 나타난다.

봤다!


Pa(파)의 예시: "봤다!" - "보다"와 동시에 완료를 나타내는 "Pa(파)" 구형이 나타난다. 문맥에 따라 "봤다!", "갑자기 보였다!" 등으로 번역된다.

많이 보였다


Pa++(파파파파)의 예시: "많이 보(였)다" - "보다"와 동시에 "Pa++(파파파파)" 구형이 나타난다. "연속해서~"라는 의미를 가지며, 수화도 잘게 움직이며 연속적으로 표현된다. "이미 봤어 봤어"라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보다


U (우)의 예시: "보다" - "보다"와 동시에 "U (우)" 구형이 나타난다. 일부 동사와 함께 사용되지만 필수적이지는 않다. 한국어의 영향이 엿보이지만, 자세한 용법은 명확하지 않다.

봤다


Ta(타)의 예시: "봤다" - "보다"와 동시에 과거 완료를 나타내는 "Ta(타)" 구형이 나타난다.

보다, 문제없이


nm(응m)의 예시: "문제없이 보다" - "보다"와 동시에 "nm(응m)" 구형이 나타난다. "아무런 문제없이~하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문제없이 보였다", "간단하게 보였다" 등의 의미가 된다. "nm"은 "응m"과 같이 "입 모양"을 의미하며, 얼굴 표정에 따라 "열심히"라는 의미가 되기도 한다.

"한국어 대응 수화"에서는 이러한 구형 대신 (대부분) 한국어 발음에 맞춰 입을 움직이며 수화 표현을 보충적으로 사용한다.

3. 3. 일치 동사

수화의 동사 중 방향성이 있는 움직임을 가지는 것을 "일치 동사"라고 한다. 손을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누가", "누구를"과 같은 관계가 표시된다.[44] 일치 동사가 "능동태", "수동태" 등을 표현한다고 생각하는 입장도 있지만, 이 현상은 한정된 특정 동사에서만 나타나며, 수화 언어에 수동태가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하지 않다.

또한, 일치 동사가 음성 언어의 일치와 동일한 성질을 가지는지에 대해서도 논쟁이 있다.[23]

일치 동사 "보다"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내가 당신을 보다: 집게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 두 손가락을 시선으로 간주하고 상대를 향해 움직인다.


당신이 나를 보다: 두 손가락을 상대에서 자신을 향해 움직인다.


일치 동사 "건네다", "받다(건네받다)"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건네다: 양손을 겹쳐 상대를 향해 움직인다.


받다: 손을 상대에서 자신을 향해 움직인다. "받다", "건네받다" 등의 일본어 번역이 가능하다.


일치 동사를 움직이는 방향의 차이는 "능동태", "수동태"와 관계없이 "내가 당신을 보다", "당신이 나를 보다"와 같이 인물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3. 4. 상 (相)

일본 수화에서 상의 문제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23] 알려진 바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 걷다 (걷는 동작을 계속한다) - 지속상 "계속 걷는다"
  • 걷다 (걷는 동작을 단속적으로 반복한다) - 습관상 "항상 (정기적으로) 걷는다"
  • 걷다 (한 걸음 걷기 직전에 멈춘다) - 직전상 "걷기 전에 멈췄다"


마찬가지로 "보다"를 작은 움직임으로 반복하면 "정기적으로 본다"라는 "습관상"이 된다.[23]

3. 5. 성별 표현

일본 수화에서는 지칭하는 인물의 성별에 따라 다른 수형을 사용하기도 한다.[45] 남성, 여성, 중성 단수/복수 표현이 존재한다.

구분수형
남성
남성
여성
여성
중성 (단수)
사람을 나타내는 전체 CL



구분수형
남성들
남성들
남성들 (계속)
여성들
여성들
여성들 (계속)
사람들 (중성 복수)
사람들
사람들 (계속)



'남자' 수화는 일반적인 '사람'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돕다' 수화는 대상을 나타내는 '남자' 수화를 뒤에서 밀어주는 표현인데, 대상이 여성이어도 이 형태를 사용한다.

돕다 - 대상을 나타내는 "남자" 수화를 뒤에서 밀어주는 표현. 대상이 되는 인물이 여성이라도 이 형태를 사용하며, 드물게 여성 형태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다니다' 수화 역시 일반적으로 남성 단수 형태로 표현하며, 이야기 속 인물이 여성이라도 남성 단수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니다 - 사람이 오고 가는 모습. 이야기 중의 인물이 여성이라도 이 형태가 사용된다.


일본 수화에는 여성어 수화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사양하다'는 여성어와 일반적인 표현(사전형)이 다르다.

구분수형
여성어 '사양하다'
여성어 "사양하다": 양손을 움츠리는 동작. 손이 상하로 겹쳐져 있다.
일반적인 '사양하다'
일반적인 "사전형" "사양하다": 남성과 여성 모두 사용. 손은 마주보고 30cm 정도 떨어져 있다. 역시 양손을 움츠리는 동작. 최초 위치에서 똑바로 양손을 몸으로 끌어당기는 표현도 있다.



'맛있다' 역시 여러 표현이 존재한다.

구분수형
일반적인 '맛있다'
맛있다: 일반적인 표현. 남녀 모두 사용.
격식 없는 '맛있다'
맛있다: 남성이 사용. 여성도 친구들 사이 등에서 사용. "격식을 갖춘" 표현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격식을 차리지 않은 느낌.
여성어 '맛있다'
여성어 "맛있어": 남성 수어자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여성적인 표현으로 받아들여진다.



이러한 여성어 수화는 우아하고 세련된 느낌으로 평가받는다.

3. 6. 수 (数)

일본 수화에는 문법상의 수는 없지만, 명사 뒤에 붙는 たち|타치일본어 ("~들")와 같은 접미사가 있어 복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山田君たち|야마다 군타치일본어 (야마다 군들)는 야마다 군을 포함한 여러 사람들을 의미한다.

또한, 같은 종류가 여러 개 있음을 나타내는 いろいろ|이로이로일본어 ("여러 가지")라는 접미사도 있다. 예를 들어, "망치", "톱", いろいろ|이로이로일본어를 함께 사용하면 "도구"라는 뜻이 된다.

CL 구문에서는 단수형과 전수형 등의 표현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만나다" 수화는 만나는 사람 수에 따라 달라진다. 한 명과 한 명이 만날 때는 일반적인 "만나다" 수화를 사용하지만, 한 명과 여러 명이 만날 때는 손가락으로 숫자를 나타내는 수화를 사용한다. 또한, 한 명과 그룹 전체가 만날 때는 "만나다 1과 5 (전수형)" 수화를 사용하는데, 이는 "참여하다"나 "(졸업, 결혼)식"과 같은 수화에서도 볼 수 있다.

"같다", "일치하다", "만들다"와 같은 수화는 주어가 단수인지 복수인지 명확하지 않지만, 땅에 평행하게 원을 그리는 동작을 추가하면 복수임을 나타낼 수 있다.

4. 어휘

일본 수화에는 어원을 갖지 않는 단어가 많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모르겠다", "자연", "상관없다" 등의 수화 표현은, 보기만 해서는 의미를 추측하기가 쉽지 않다.[33]

수화에는 문자가 없고 (무문자 언어), 기록 동영상의 제작이 가능해진 것도 최근이기 때문에, 역사 언어학의 기법 등을 이용하여 "어원"을 찾아내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33]

수화 표현의 "어원"이라고 불리는 것의 대부분은 개인의 코멘트이거나, 학습자의 암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고안된 것이다.[33]

다만, 수화 언어의 특성으로, 표현하고 싶은 것의 모양이나 성질을 나타내는 CL 표현·제스처·지문자·숫자를 도입한 수화 표현도 많이 보인다.[33]


  • 표현하고 싶은 물건 (도구, 식재료, 물체 등)을 다루고 있는 모습 (CL 표현)이 관련되어 있는 것.[33]
  • 사람이나 동물의 움직임이 관련되어 있는 것[33]
  • 표현하고 싶은 물건의 모양이 관련되어 있는 것[33]
  • 손가락으로 가리키거나 손으로 만지는 동작이 관련되어 있는 것[33]
  • 손가락을 무엇인가에 비유한 것 (CL 표현 포함)[33]
  • 지문자가 관련되어 있는 것[33]
  • 한자, 마크, 디자인이 관련되어 있는 것[33]
  • 수의 표현이 관련되어 있는 것[33]
  • cued speech영어와 관련되어 있는 것[37][38][39][40][41]
  • CL 표현의 조합[33]


小: "작다"라는 의미는 없고, 지명, 인명에서의 "小".


井: "우물"이라는 의미는 없고, 지명, 인명에서의 "井".


法人: 한자의 "삼수변"을 표현. 지명, 인명에서의 "法"이 아닌, 이 수화만으로 "법인"이라는 의미. 반대쪽 손바닥에 삼수변을 대는 방법도 있다.


中: "~하고 있는 중"이라는 진행상의 표현. 더 나아가, 지명, 인명에서의 "中"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NTT: 두 손가락으로 NTT의 마크를 그린다.


NTT (계속)


중국: 수지 문자 "も"의 수형을 만들고, 그림과 같이 움직인다.


司会: 수지 문자 "も"와 같은 수형을 만들고, 한자 "司"의 일부를 그린다.

5. 일본 수화의 종류

일본에서는 여러 종류의 수화가 사용되고 있으며,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14]



: 일본 청각 장애인 커뮤니티에서 사용하는 자연 언어이다. 다른 모든 언어와 마찬가지로 고유한 음운론, 형태론, 구문론, 의미론을 가지고 있다.

  • '''타이오 수와(対応手話|타이오 슈와일본어; 수동 코딩된 일본어)'''


: 일본어 어순(문법)을 따르며, 일본어에 수화 단어를 덧붙이는 방식이다. 즉, 수화가 아니라 단순히 수화된 일본어이다.

  • '''주칸 수와(中間手話|주칸 슈와일본어)'''


: JSL과 일본어 문법을 결합한 형태이다. 미국에서는 접촉 수화라고 불린다.

JSL은 일본어의 인코딩과는 달리 진정한 수화로 간주되는 유일한 언어이다. 그러나 이 세 종류의 수화는 모두 일본에서 手話|슈와|수동 언어일본어로 널리 불린다.

한국 수화와 대만 수화는 JSL과 일부 수화를 공유하는데, 이는 일본 통치 시대의 문화적 영향 때문으로 보인다. JSL은 대만 수화와 약 60%의 어휘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15]

6. 청각 장애인 교육

1862년 도쿠가와 막부는 유럽의 청각 장애인 학교에 사절단을 파견했지만, 최초의 청각 장애인 학교는 1878년 교토에 후루카와 타시로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그는 JSL이 될 것을 개발했다.[2][3]

1948년까지 청각 장애 아동은 학교에 다닐 필요가 없었고 정규 교육을 받을 필요도 없었다.[4]

일본 청각 장애인 연맹은 JSL을 모국어로 사용하는 일본인의 의사 소통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노력에 느리지만 성공적으로 참여해 왔다.[6]

JSL과 대응 수화의 정의에 대한 갈등은 농교육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16] 1990년대구화주의에서 총체적 의사소통 방식으로 변화하면서, 농아동에게 말하기를 강요하고 수화 사용을 금지했던 이전과 달리 교사가 각 농아동에게 맞춰 구어, 문어, 동시 통역 등 다양한 의사소통 방식을 사용하게 되었다. 당시 일본에서 수화 사용이 확산되었지만, 동시 통역과 같이 대응 수화와 함께 사용되었다.

2003년 일본 농아동 부모 협회는 "농아동의 교육 평등권 침해"라는 제목의 인권 구제 성명을 발표하고, 모든 학교에서 JSL을 가르칠 수 있는 교사와 모든 대학에서 JSL 교습 과정 개설 및 농아 교사 면허 발급을 요구했다. 그러나 일본 청각 장애인 연맹은 "JSL과 대응 수화 사용자를 위한 두 가지 의사 소통 방식을 구분함으로써 인권이 침해될 수 있다"고 밝혔다. 결국 일본 변호사 연합회는 JSL 대신 '수화'라는 단어를 사용한 "풍부한 수화 교육을 요구하는 의견"이라는 문서를 작성했다.

현재 JSL은 도쿄사립학교인 메이세이 학원(메이세이 가쿠엔)에서만 사용되고 있으며, 다른 농학교에서는 다른 의사소통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6. 1. 이중 언어 교육

청각 장애인을 위한 이중 언어 교육(이중 언어–이중 문화 교육 참조)은 일본 수화(JSL)와 문어를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부 부모는 자녀와 소통하기 위해 구어와 같은 다른 언어 방식을 선택하기도 하고, 인공 와우 및 보청기와 같은 다른 도구를 사용하기도 한다. [17] 최근 기사에 따르면, 제1 언어에 유창한 어린이는 외국어 학습자와 마찬가지로 언어 방식이 다르더라도 제2 언어를 습득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자신의 모국어에 대한 유창성을 습득하는 것이다. 향후 과제는 이중 언어 교육에서 일본 수화와 문어를 어떻게 연결할 것인지 고려하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1999년부터 자유 학교(타츠노코 학원)에서, 2009년부터 메이세이 학원(메이세이 가쿠엔)에서 이중 언어 교육이 시작되었다.

7. 법률 및 사회적 인식

2011년 장애인 기본법 개정으로 수화가 언어로 인정되었다.[11] 2013년 돗토리현에서 "수화는 언어이다"라고 명시한 최초의 수화 관련 조례가 제정되었다. 이후 수화 관련 법률은 현(県) 수준에서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국가 수준의 수화 관련 법률 제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수화 관련 법률이 일본 수화(JSL)를 명확히 참고하지 않아 논란이 있다.[18] 일각에서는 이 법률이 대응 수화(수동 부호화 일본어 또는 동시 통역) 및 중간 수화(접촉 수화)를 포함한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우려한다. 반면 일본 수화를 명시하면 다양한 수화 사용자(청각 장애인)를 차별하기 쉬워진다는 주장도 있다.

한편 일본 청각 인구 사이에서 수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청각 인구를 위한 서적이 출판되고, JSL 교육 TV 프로그램이 방영되며, 야간 학교에서 JSL 강좌를 수강할 수 있게 되었다. 별의 금화(1995)와 같은 드라마에서 수화가 중요한 요소로 등장했고, 수화 드라마는 일본 TV의 한 장르로 자리 잡았다. 영화 바벨(2006)과 목소리의 형태(2016)에서도 JSL이 중요한 요소로 등장했다.

8. 다른 수화와의 관계

한국 수화한국어, 는 일본 수화(JSL)와 일부 수화를 공유하는데, 이는 일제강점기의 영향 때문이다.[32] JSL은 대만 수화와 약 60%의 어휘 유사성을 가진다.[32] 아마미 수화, 미야코 수화 등은 별개의 언어 계통으로 간주된다.[32]

참조

[1] 간행물 The Estimated Population of Japanese Sign Language Users Japanese Association for Sign Language Studies 2001-06-00
[2] 서적 The SAGE Deaf Studies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6-01-05
[3] 서적 Handbook of Japanese Applied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6-01-15
[4] 서적 Many Ways to be Deaf: International Variation in Deaf Communities https://books.google[...] 2003-00-00
[5] 서적 Deaf in Japan: Signing and the Politics of Identity 2006-00-00
[6] 간행물 Resistance and Co‐optation: the Japanese Federation of the Deaf and its Relations with State Power https://web.archive.[...] 2002-00-00
[7] 뉴스 The emperor and the tennis pro https://archive.toda[...] Globe and Mail 2009-06-27
[8] 웹사이트 Their Imperial Highnesses Prince and Princess Akishino http://www.kunaicho.[...] Imperial Household Agency
[9] 뉴스 Princess Kiko chats with Deaf soccer players in sign language after film show http://deafjapan.blo[...] Deaf Japan News 2010-09-07
[10] 뉴스 Deaf community requests enactment of the sign language law http://deafjapan.blo[...] Deaf Japan News 2010-11-15
[11] 웹사이트 Sign Language Stated in Law! http://www.jfd.or.jp[...] jfd.or.jp
[12]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www.jasli.jp/[...] Japanese Association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13] 간행물 Ten Linguistic Issues in Japan: The Impact of Globalization http://www.oecd.org/[...]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14] 서적 日本手話と日本語対応手話(手指日本語)―間にある「深い谷」 2011-00-00
[15] 서적 Variation in East Asian Sign Language Structur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0-00
[16] 서적 日本手話とろう教育 Seikatsushoin 2017-00-00
[17] 논문 First-language acquisition after childhood differs from second-language acquisition: the case of American Sign Language 1993-12-00
[18] 서적 手話を言語と言うのなら Hitsuji-syobou 2016-00-00
[19] 웹사이트 yonmannin shomei haikyu ugokasu http://www.asahi.com[...] 2017-02-13
[20] 서적 基礎から学ぶ手話学 福村出版 2009-00-00
[21] 서적 自然科学と聾唖史 ミネルヴァ書房 2017-00-00
[22] 논문 ろう文化宣言 1995-03-00
[23] 서적 日本手話で学ぶ手話言語学の基礎 くろしお出版 2015-00-00
[24] 서적 世界の手話・入門編 廣済堂出版 0000-00-00
[25] 논문 Taiwan Sign Language research: an historical overview 2005-00-00
[26] 서적 The numeral system of Japanese Sign Language from a cross-linguistic perspective MA thesis, University of Central Lancashire (修士論文、セントラルランカシャー大学) 2014-00-00
[27] 서적 Variation in East Asian sign language structur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0-00
[28] 서적 Language Contact and Borrowing De Gruyter Mouton 2012-00-00
[29] 서적 Sign Language and Creoles Academic Press 1978-00-00
[30] 서적 歴史の中のろうあ者 近代出版 1998-00-00
[31] 서적 Language Emergence and Creolisation De Gruyter Mouton 2012-00-00
[32] 서적 日本手話と日本語対応手話(手指日本語):間にある「深い谷」 生活書院 2011-00-00
[33] 서적 日本手話のしくみ 大修館書店 2011-05-30
[34] 논문 手話の言語学 第6回・空間の文法(2)代名詞と動詞の一致 2005-00-00
[35] 서적 はじめての手話 生活書院 2014-00-00
[36] 논문 手話の言語学第2回・図像性をめぐる2つの世界ー手話の音韻形態構造(1)「CL構文」
[37] 웹사이트 キュード・スピーチの英訳 http://eow.alc.co.jp[...]
[38] 웹사이트 キュード・スピーチ(きゅーどすぴーち)とは https://kotobank.jp/[...]
[39] 웹사이트 「聴覚障害」とは?>2 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 http://www.aichi-c.e[...]
[40] 웹사이트 NETAC Teacher Tipsheet 23cuedspeech.pdf キュードスピーチ http://www.tsukuba-t[...]
[41] 웹사이트 検証 ろう教育用語『キュード・スピーチ』 http://www.hat.hi-ho[...]
[42] 논문 手話の言語学第8回・頭の位置と口型ー日本手話の文法(4)「知覚動詞・思考動詞、非手指副詞」
[43] 서적 驚きの手話「パ」「ポ」翻訳:翻訳で変わる日本語と手話の関係 星湖社
[44] 논문 手話の言語学第6回・空間の文法ー日本手話の文法(2)「代名詞と動詞の一致」
[45] 서적 Pronominal reference in signed and spoken language: Are grammatical categories modality-depend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